서울시는 코로나19로 인해 생계가 어려워진 외국인 주민들에게 한시적으로 재난 긴급 생활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서울 외국인 재난지원금의 신청 방법, 지원 대상, 지원 내용, 신청 기간 및 접수처에 대해 자세히 안내드리겠습니다.
지원 대상
서울 외국인 재난지원금의 지원 대상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하는 외국인 주민입니다.
- 등록 요건: 기준일 현재 서울특별시에 외국인 등록 또는 거소 신고를 한 지 90일을 초과해야 합니다.
- 소득 기준: 가구소득이 중위소득 100% 이하이어야 하며, 세대주가 취업 또는 영리 활동이 가능한 가구여야 합니다.
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외국인 주민은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, 지원금의 액수는 가구의 인원 수에 따라 달라집니다.
가구 인원 수 | 중위소득 기준 (원) |
---|---|
1인 가구 | 1,757,194 |
2인 가구 | 2,991,980 |
3인 가구 | 3,870,577 |
4인 가구 | 4,749,174 |
5인 가구 | 5,627,771 |
6인 가구 | 6,506,368 |
위 표는 각 가구의 인원 수에 따라 요구되는 중위소득 기준을 나타내며, 이를 통해 지원 자격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.
지원 내용
서울 외국인 재난지원금의 지원 내용은 가구별로 차등 지급되는 방식입니다. 지원금은 한 번에 지급되며, 지급 금액은 가구의 인원 수에 따라 달라집니다.
- 1인-2인 가구: 30만 원
- 3인-4인 가구: 40만 원
- 5인 이상 가구: 50만 원
지원금은 선불카드 형태로 지급되며, 사용 기한은 지정된 날짜까지입니다. 이 지원금은 외국인 주민의 생활비 부담을 덜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가구 유형 | 지원금액 (원) |
---|---|
1인 – 2인 가구 | 300,000 |
3인 – 4인 가구 | 400,000 |
5인 이상 가구 | 500,000 |
위 표는 가구 유형에 따른 지원금액을 정리한 것으로, 각 가구의 상황에 맞는 지원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신청 기간
서울 외국인 재난지원금의 신청은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됩니다. 온라인 접수 및 현장 접수가 있으며, 신청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온라인 접수: 2020년 8월 31일(월)부터 9월 25일(금)까지.
- 현장 접수: 2020년 9월 14일(월)부터 9월 25일(금)까지.
온라인 접수는 서울시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진행되며, 현장 접수는 지정된 장소에서 이루어집니다. 각 접수 방법에 따른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.
접수 방법 | 기간 | 장소/사이트 |
---|---|---|
온라인 접수 | 2020. 8. 31 – 9. 25 | 서울시 재난지원금 사이트 |
현장 접수 | 2020. 9. 14 – 9. 25 | 서초문화예술회관 1층 |
위 표에서는 온라인 및 현장 접수의 기간과 장소를 정리하여, 외국인 주민들이 편리하게 신청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.
접수처 및 상담 서비스
서울 외국인 재난지원금 신청을 위한 접수처는 다음과 같습니다. 서초구에서는 현장 접수가 가능하며, 서래글로벌빌리지센터에서 다국어 상담도 지원하고 있습니다.
이는 외국인 주민들이 언어 장벽 없이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된 서비스입니다.
- 현장 접수처: 서초문화예술회관 1층
- 전화 상담: 서초구청 복지정책과 복지기획팀(☎ 02-2155-8371)
- 다국어 상담 서비스: 서울시 글로벌센터 및 서울이주여성상담센터에서 운영합니다.
서비스 유형 | 제공 장소 | 연락처 |
---|---|---|
현장 접수 | 서초문화예술회관 1층 | ☎ 02-2155-5360 |
전화 상담 | 복지정책과 복지기획팀 | ☎ 02-2155-8371 |
다국어 상담 서비스 | 서울시 글로벌센터 등 | ☎ 120 다산콜센터 |
위 표는 접수처 및 상담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여, 외국인 주민들이 필요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경로를 안내하고 있습니다.
결론
서울 외국인 재난지원금은 코로나19로 인해 생계가 어려워진 외국인 주민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. 지원 대상, 지원 내용, 신청 기간 및 접수처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숙지하시고, 필요한 경우 적기에 신청하시기를 권장합니다.
이 지원금이 외국인 주민들이 서울에서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.